바다낚시방

인천 남항에서 천지5호승선 우럭낚시하며... # 2

산마루2 2015. 8. 22. 10:28

                    지난 8월 7일 당진 장고항으로 바다낚시 다녀오고 두번째다.

                    첫번째 나갈 때엔 왕초보 아무것도모르고 나가서 고패질도모르고 선장의 말소리도 무슨소리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봉추를 바닥에대고 여기저기 휘저으며 그날 봉추를 6개를 바닥에걸려 빠트렸다.

                    그래도 눈먼고기(우럭)가  물어줘 12수했다.그것이 나를 바다낚시에 빠저들게한 계기가 된듯

                  

                    그날 이후 인터넷에 자주들어가 우럭낚시에대한 요령. 고패질 하는법.낚시배 고르는법.자리잡는법.미끼는

                    뭣을 써야 잘잡히는지 등등을 계속 공부하다보니 낚시에대한 집념이 뇌리에서 떠나지않아 16일 인천 남항에서

                    출항하는 천지5호에 예약을 했다.

 

                     전에 한참 등산다닐때 같이 동행할 사람이 없으면 혼자나서서 산행을 많이했던거와같이 배낚시도 처남이 그날

                     같이가려고 했는데 다른약속이 있다기에 혼자예약을 하고 날자만 기다린다.  일자가 21일로 잡혔는데 10일부터

                     주간일기예보에 19.20.21일 전국적으로 비가온단다. 그래도 예약을 취소하지않고 기다려 21일 집에서 0시 15분 집을 나섰다.

 

                     장고항에서는 새벽 5시 20분에 출항했는데 여기서는 새벽 3시까지 남항부두 로 나오란다. 경인고속도로로 해서

                     남항부두에 도착하니 40분 좀 넘게걸려 2시쯤 도착했다  시간이 너무일러 낚시꾼 몇사람말고는 선착장에도 아무도 없다.

                     차에서 잠시눈좀붙이고 밖으로 나와 천지호쪽을 보니 불빛이 켜있고 사람들이 그쪽으로 배에 오르기에 나도 승선했다.

                    3시가 다되여 승선명단 작성하고 자리추첨을 한단다. 지난번에도 우현 맨앞에 앉아서 했는데 이번에도 추첨을했느데도

                    자리가 또 우현 1번자리가 배정되였다.

 

              자리배정받고 낚시대 꽂아놓고 3시 50분경 배가 출항 캄캄한 밤하늘에 비가내리는가운데 바다를 향하여 배는 열심히 달린다.

              선장 사모가 낚시배에 승선한 20명 모두에게 아침으로 라면을 끓려주어 그것으로 시장끼를 달래며 바다에는 비가 그친듯하다.

              4시 10분쯤 인천대교를 지나 덕적도 방향을로 계속 달린다. 옆사람보고 왜 가다가 배를 세워 낚시를 하게 하지않고 계속 가느냐

              고 물으니 여기는 인천 앞바다라 고기가 없어 멀리 나가야하기때문이란다.

 

              06시쯤 되니 여명이 밝았다. 장고항 출조때 모든게 모르던것을 그동안 나름대로 많이 읶혔다고 생각하며 기대가 부풀어

             신호만 떨어지면 열심히 줄을 내리고 고패질도 천천히 하며 낚시를 하는데 1시간이 지나도 한수도 못잡아 그래도 낚시는

              계속된다. 다른사람들도 거의 비슷하게 잡히는게 별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가 한마리 올렸다.

             그러고 2시간이지나도록 한마리도 못잡고 낚시대를 붙잡고 씨름을 하다가 작은놈이지만 광어가 한마리 걸렸다

 

                              ▶ 새벽 2시경 인천 남항부두에 도착하고

 

                               ▶  2시 10분경 선착장의 모습.

                              ▶ 한전에서 설치한 인천항 인근 바다지도.

 

                                ▶ 2시 30분경 선착장의 낚시배들.

                                ▶  새벽 3시이후 자리추첨 끝내고 라면으로 조식 ? 하고 낚시대를 자리에 꽂아놓은모습.

                             ▶  내뒤 좌현에도 꾼들이 채비를 준비하는모습.

                            ▶  조금씩 비가내리는가운데 인천 컨테이너 선착장을 빠저나가며 우리가 탄배 에서보는 컨테이너 선착장.

 

 

                             ▶  04시 배는 2시간을 더달려 덕적도 인근 해상까지 간단다.  몇몇사람들이 갑판에앉아 담소하는 모습.

 

                               ▶  4시 15분 인천대교아래를 지나며.

 

                            ▶  05시 30분경 아직도 배는 계속 달리고 낚시대는 가즈런히 꽂혀있고......

                             ▶  여명이 밝아 낚시가 시작되고 다시 포인트 이동중에.....

 

                              ▶  영흥 화력발전소 가 눈앞에 보인다. 지난 7일 장고항에서 출항 낚시하던 그지역이 인천항에서 출항해도 낚시하는

                                  해역은 같은 해역 같다.

 

                            ▶  고기는 않올라오고 무심히 지나는 배들만 유유히 지난다.

 

                          ▶   7시경 조그마한 우럭 한수하고 3시간만인 10시경  광어 한수했다.

                           ▶  생전처음 바다에서 낚시로 자연산 광아를 잡았다는게 신기하다.  이맞에 바다낚시를 하는가보다.

                                시계를 풀러놓고 시간을 보니......

                          ▶   우현에 10명이 앉았는데 이시간 현재 조과는 모두 별루다.

                              ▶  선장 바로 앞에 내가 앉자하는데 고기들을 못잡는건지 않잡히는겄인지  낚시꾼보다 선장이 땀이난단다.  ㅋ ㅋ 

                           ▶ 이동하며 역시 작은 우럭 한수더하고  오늘 낚시는 여기까지라고 하며 낚시꾼들에게 수고 많았다고 인사하며

                              배는 14시45분 영흥대교 밑은 지난다.

 

 

 

                          ▶  15시 30분경 멀리 인천 대교가 보인다.  새벽 4시 10분경 지나던 인천대교를 거의 12시간만에 다시지나게된다.

                               오늘 조황은 조황이라고 할수없을 정도지만 잡으면 좋고 못잡았어도 다음기회가 있으니 너무거기에 연연하지않고

                               하루를 낚시하는 실전도 읶혔다고 생각하면 크게 도움이 되지않았나 생각도 해본다.

 

                               ▶  16시경 인천 남항에 배가도착 선착장에 내리니 4시 10분.

                            ▶  새벽 0시 15분 집을 나서 하루종일 우럭 잡겠다고 서해바다를 누비며 14시간을 보냈어도 고생했다고 생각지않으며

                                즐겁게 하루를 보낸것에 모두에게  특히 주님께 감사드리며  일기예보에 전국적으로 비온다는게  오히려 약간의

                                 구름낀 날씨로 낚시하기에 너무 좋았고 천지5호 김선장님의 애씀과 사모의 아침. 점심 (동태국) 정말 맞있게 먹었고

                               수시로 커피와 음료수를 제공해 주는 넉넉함에 감사함을 느끼며 같이했던 생면부지의 사람들과 낚시를 함께했던  추억

                               모두가 좋았다.

 

                                                                                      2015 년      8월     21일

 

                                                                                                 글 쓴 이               -   산   마   루 -         고  종  현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