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낚시방

10월 주꾸미

산마루2 2017. 11. 1. 07:20

                 지난 9월 15일 역시 충남 당진 외목마을 파란고래호를 타고 주꾸미 낚시를 다녀오고 이번에 출조다,

                 10월 말이면 서해에 주꾸미철이 끝난단다 그래서 우럭쪽을 생각은 했지만 앞으로 우럭은 기회가 있으니

                 주꾸미로 택하고 함께하는 처남이 인천쪽보다는 당진쪽을 선호하는거같아 당진 장고항에 용신호를

                 지난 18일 예약을 했다,


                    오늘도 집에서 3시에 처남과 출발 2시간걸려 장고항에 도착하니 6시에 배가 출항하는데 좀 일찍 도착하여

                    주변 식당에서 국밥으로 아침 식사를 하고 용신호 선사에가서 승선수속하고 요금 지불하고 부두로 가니

                    낚시꾼들은 있는데 6시 전이라 아직 배가들어오지않아 새벽 추운선착장에서 10분을 기다려 용신호에 승선

                   오늘 낚시가 시작된다,

                   늘 그렇듯이 주꾸미 낚시는 2~30분정도 가까운 데서 낚시가 시작된다 배 우현 중앙쪽에 둘이서 자리를 잡고

                   선장의 신호를 기다려 추를 내린다,3~40 분 동안 주꾸미얼굴을 못본다, 그러면서 포인트를 찾아 자리를 이동

                   7 시경부터 1~2 마리 올라오기는 하는데 생각보다 시원치 않다,

                    오늘 일기는 어제는 낮기온이 14도 였는데 오늘은 17도, 새벽에 좀 추웠을 뿐 낚시하는데는 최적이였다,

                    바다의 파도도 잔잔하며 바람이 없어호수와 같이 물결이 잔잔해 날씨는 최적이다,

                    이동하며 이름모를 섬을 앞에두고 포인트를 찾아이동하면서....


                    당진 장고항 앞바다에서 낚시를 하니 저멀리 보이는 시설물이 당진 화력 발전소가 아닌가 하며 연신 봉돌레 에기달고

                    주꾸미가 올라타기를 기다려 채기만 하면 되는데 옆에 젊은 사람은 잘도 끌어 올리는데 나는 감각이 무뎌서인지 생각만큼

                   잘않된다,그래도 열심히 낚시를 해 3시 넘어 낚시가 종료되고 9시간 을 넘게 배를 타고 낚시를 했으니 젊은 사람도 않이고

                   힘들다,

                  오늘 낚시를 전부 마치고 귀가하는 데 갈때는 2시간만에 도착했는데 올때는장고항에서 3시경 출발 했는데 집에오니 6시가 넘었다,

                  인천은 주꾸미 배는 5만 5천원 인데 여기당진은 7 만원에 인천보다 거리도 멀어 바람 쏘이며 하루 즐겁게 보냈다고는 하지만

                  나이들어 장거리 운전하려니 피곤한데다 힘들게 집에 도착, 다음에는 인천쪽을 택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여기 배에서 일하는 분들이나 선사사람들의 이야기로는 주꾸미는 다음주까지가 끝이라는 소리를 하는걸 보니 우리가

                 출조한게 끝물이라 조황도 신통치 않은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

                오늘의 조황은 지난 9월 출조때보다 반타작정도 했으니 집에와 샤부샤부에 소주한잔할정도면 만족하다고 생각하며

                오늘 좋은 날씨에 장고항에 나와 주꾸미 낚시한것에 의미를 두며 함께한 처남에게 또 오늘 하루 무사히 보낼수있게

                해주신 주님께 감사하며 이글을 읽어주시는 분들께도 감사드리며 여기서 마친다,



                                                               2017 년                 10 월            마지막날      


                                                                         

                                                                       글       쓴      이                   고     종     현                      - 산   마   루  -     글,